[MCP-시리즈4] Claude Code + Task-Master: AI 개발 워크플로우 완전 정복
AI가 직접 프로젝트 관리를 해주면 어떨까요? 🤖
Claude Code의 MCP(Model Context Protocol) 기능 덕분에 이제 정말로 가능해졌어요!
제가 직접 사용해본 결과, Task-Master와 Claude Code를 연결하면 복잡한 프로젝트도 AI가 능동적으로 관리해줍니다.
이번 글에서는 이 강력한 조합을 설정하고 활용하는 모든 과정을 단계별로 알아보겠습니다.
🔗 MCP란 무엇인가요?
MCP는 AI가 여러분의 컴퓨터와 안전하게 소통할 수 있게 해주는 다리 역할이에요.
Claude Code가 할 수 있게 되는 일들:
기능 | 설명 | 실무 활용 예시 |
---|---|---|
📁 파일 시스템 접근 | 프로젝트 파일 직접 조작 | 코드 생성, 설정 파일 수정 |
🗄️ 데이터베이스 연결 | DB 쿼리 실행 | 데이터 조회, 스키마 확인 |
🌐 API 호출 | 외부 서비스 연동 | Task-Master 명령어 실행 |
⚙️ 도구 실행 | CLI 명령어 수행 | 빌드, 테스트, 배포 |
⚡ Task-Master MCP 설정하기
1단계: 기본 설정 파일 만들기
프로젝트 루트에 `.mcp.json` 파일을 생성하세요:
{
"mcpServers": {
"task-master-ai": {
"command": "npx",
"args": ["-y", "--package=task-master-ai", "task-master-ai"],
"env": {
"ANTHROPIC_API_KEY": "여기에_키_입력",
"PERPLEXITY_API_KEY": "여기에_키_입력",
"OPENAI_API_KEY": "여기에_키_입력",
"GOOGLE_API_KEY": "여기에_키_입력"
}
}
}
}
2단계: 보안 설정하기
API 키를 안전하게 관리하기 위해 `.env` 파일을 만드세요:
# .env 파일
ANTHROPIC_API_KEY=sk-ant-api03-...
PERPLEXITY_API_KEY=pplx-...
OPENAI_API_KEY=sk-...
GOOGLE_API_KEY=AIza...
🔒 보안 팁: `.env` 파일은 반드시 `.gitignore`에 추가하시는 걸 잊지 마세요!
3단계: Claude Code 권한 설정
`.claude/settings.json`으로 도구 사용 권한을 제한하세요:
{
"allowedTools": [
"Edit",
"Bash(task-master *)",
"Bash(git commit:*)",
"Bash(git add:*)",
"Bash(npm run *)",
"mcp__task_master_ai__*"
]
}
🧪 연결 테스트하기
연결 상태 확인하기
Claude Code를 디버그 모드로 실행해서 연결을 확인해보세요:
claude --mcp-debug
성공하면 이런 메시지가 나와요:
✅ MCP Server Connected: task-master-ai
📊 Available tools: 15개
- initialize_project
- parse_prd
- get_tasks
- next_task
- get_task
...
간단한 테스트 해보기
Claude Code에서 이렇게 테스트해보세요:
// Claude Code 내에서 실행
help // Task-Master 도움말 확인
get_tasks // 현재 태스크 목록 보기
🛠️ 실무에서 활용하기
프로젝트 시작 워크플로우
이제 AI에게 프로젝트 관리를 맡길 수 있어요:
// 1. 프로젝트 초기화
initialize_project
// 2. PRD에서 태스크 자동 생성
parse_prd
// 3. AI가 복잡도 분석
analyze_project_complexity
일상 개발 루틴
매일 이런 패턴으로 사용하면 정말 편해요:
단계 | MCP 명령어 | 실제 활용 |
---|---|---|
🌅 아침 시작 | next_task |
AI가 오늘 할 일 추천 |
📋 작업 확인 | get_task |
상세 요구사항 파악 |
✅ 진행 업데이트 | set_task_status |
완료 상태 자동 기록 |
🔄 다음 작업 | next_task |
연속적인 워크플로우 |
고급 활용법
// 복잡한 태스크 분해
expand_task // AI가 자동으로 서브태스크 생성
// 진행 상황 분석
complexity_report // 프로젝트 리스크 분석
// 태스크 업데이트
update_task // 요구사항 변경사항 반영
💬 실제 대화 예시
새 기능 개발 시나리오
사용자: "Task-Master로 사용자 인증 기능 구현해줘"
Claude: "네! Task-Master로 인증 시스템을 구현해보겠습니다.
1️⃣ 먼저 새 태스크를 추가할게요:
[add_task 실행: "사용자 인증 시스템 구현"]
2️⃣ AI가 자동으로 세부 태스크를 생성했어요:
✅ 생성된 서브태스크들:
- 데이터베이스 스키마 설계
- JWT 토큰 생성 로직
- 로그인/로그아웃 API 구현
- 권한 검증 미들웨어
3️⃣ 첫 번째 작업부터 시작하시면 됩니다!"
진행 상황 확인 시나리오
사용자: "현재 프로젝트 상황은 어때?"
Claude: "현재 프로젝트 진행 상황을 확인해드릴게요! [get_tasks 실행]
📊 전체 현황:
- ✅ 완료: 12개 태스크 (40%) - 🔄 진행 중: 3개 태스크 (10%) - ⏳ 대기 중: 15개 태스크 (50%)
🔥 현재 진행 중인 작업:
1. API 엔드포인트 구현 2. 프론트엔드 컴포넌트 개발 3. 테스트 케이스 작성
🎯 다음 우선순위: 데이터베이스 마이그레이션 스크립트 작성"
🚨 문제 해결하기
연결이 안 될 때
이런 방법들을 시도해보세요:
문제 | 해결 방법 | 명령어 |
---|---|---|
권한 오류 | 실행 권한 부여 | chmod +x node_modules/.bin/task-master-ai |
Node.js 버전 | 16버전 이상 확인 | node --version |
로그 확인 | 상세 로그 보기 | claude --mcp-debug 2>&1 | grep task-master |
성능 최적화 팁
💡 추천 설정들:
- 캐시 활용: 태스크 정보가 로컬에 저장되어 빨라요
- 배치 처리: 여러 태스크를 한 번에 업데이트
- 선택적 AI 사용: 간단한 작업은 `--no-ai` 플래그 활용
🚀 고급 통합 패턴
커스텀 슬래시 명령어 만들기
자주 쓰는 패턴은 슬래시 명령어로 만들면 편해요.
`.claude/commands/taskmaster-daily.md` 파일 생성:
일일 Task-Master 워크플로우를 실행합니다.
1. 현재 진행 상황 표시
2. 다음 태스크 확인
3. 블로킹 이슈 파악
4. 오늘의 목표 설정
Git과 연동하기
# .git/hooks/pre-commit
#!/bin/bash
# 커밋 전에 태스크 상태 자동 동기화
task-master generate
git add .taskmaster/tasks/*.md
CI/CD 파이프라인 통합
# .github/workflows/task-sync.yml
name: Task Sync
on: [push]
jobs:
sync:
runs-on: ubuntu-latest
steps:
- uses: actions/checkout@v2
- name: Task 상태 확인
run: |
npx task-master-ai validate-dependencies
npx task-master-ai complexity-report
🔐 보안 체크리스트
필수 보안 설정
항목 | 설정 방법 | 중요도 |
---|---|---|
API 키 보호 | .env 파일 + .gitignore |
🔥 매우 높음 |
권한 제한 | allowedTools 로 필요한 것만 |
🔥 매우 높음 |
키 로테이션 | 정기적으로 키 변경 | ⚠️ 높음 |
환경 분리 | 개발/운영 환경 분리 | ⚠️ 높음 |
권한 설정 예시
{
"allowedTools": [
// 꼭 필요한 것만 허용
"mcp__task_master_ai__get_tasks",
"mcp__task_master_ai__set_task_status"
// 위험한 작업은 제외
]
}
📈 실무 활용 팁
컨텍스트 관리 전략
- 작업 전환 시 `/clear` 명령어로 컨텍스트 초기화
- 관련 태스크만 로드해서 성능 최적화
팀 협업 워크플로우
- 팀원별 태스크 할당 및 진행 상황 공유
- 일일 스탠드업 자동화
- PR 생성 시 태스크 ID 자동 연결
문서화 자동화
- 구현 노트를 `update_subtask`로 자동 기록
- 완료된 태스크를 지식 베이스로 축적
🎯 핵심 정리
Claude Code와 Task-Master의 MCP 통합은 단순한 도구 연결을 넘어선 새로운 개발 패러다임이에요.
이 통합의 핵심 가치:
- 컨텍스트 스위칭 최소화: 한 곳에서 모든 작업 관리
- 프로젝트 가시성 극대화: 진행 상황이 한눈에
- AI와 인간의 협업 시너지: 반복 작업은 AI가, 창조적 작업은 개발자가
다음 글에서는 Task-Master의 모든 핵심 명령어를 완전 정복하는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!
💬 MCP 설정하면서 막힌 부분이 있으시면 댓글로 질문해주세요! 직접 도움드릴게요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