[MCP-시리즈2] PRD 작성부터 태스크 자동 생성까지: 실무에서 바로 써먹는 가이드
전통적인 프로젝트 관리에서 요구사항을 태스크로 분해하는 과정, 정말 번거로우셨죠? 매번 주관적이고 시간도 오래 걸리고요. Task-Master는 PRD를 AI가 자동으로 분석해서 체계적인 태스크 트리를 만들어주는데, 이게 정말 게임 체인저예요.
이번 글에서는 효과적인 PRD 작성부터 태스크 자동 생성까지 전체 워크플로우를 실무 중심으로 알아보겠습니다.
📋 PRD란 무엇인가?
PRD(Product Requirements Document)는 제품이나 기능의 요구사항을 정리한 문서입니다. Task-Master에서는 이 PRD를 AI가 분석해서 바로 실행 가능한 태스크들을 자동으로 만들어줍니다.
항목 | 설명 | 중요도 |
---|---|---|
구조화된 정보 | AI가 이해하기 쉬운 명확한 구조 | ⭐⭐⭐ |
구체적 요구사항 | 모호한 표현 대신 구체적인 기능 설명 | ⭐⭐⭐ |
우선순위 정보 | 중요도와 긴급도 구분 | ⭐⭐ |
기술적 제약사항 | 구현 시 고려할 기술적 요소 | ⭐⭐ |
✍️ 효과적인 PRD 작성 가이드
1. 기본 템플릿
# 프로젝트명: [프로젝트 이름]
## 개요
- 목적: [프로젝트의 목적과 목표]
- 범위: [구현 범위와 제외사항]
- 일정: [예상 완료 일정]
## 핵심 기능
1. [기능 1 이름]
- 설명: [상세 설명]
- 우선순위: High/Medium/Low
- 기술요구사항: [필요한 기술스택]
2. [기능 2 이름]
- 설명: [상세 설명]
- 우선순위: High/Medium/Low
- 기술요구사항: [필요한 기술스택]
## 비기능적 요구사항
- 성능: [성능 요구사항]
- 보안: [보안 요구사항]
- 확장성: [확장성 요구사항]
## 제약사항
- 기술적 제약: [기술적 제한사항]
- 시간적 제약: [일정 제약사항]
- 리소스 제약: [인력/예산 제한]
2. AI 친화적 PRD 작성 팁
✅ 좋은 예 vs ❌ 나쁜 예:
구분 | ✅ 좋은 예 | ❌ 나쁜 예 |
---|---|---|
명확한 동사 | 사용자가 이메일과 비밀번호로 로그인할 수 있어야 한다 | 로그인 기능 |
구체적 수치 | 파일 업로드 크기는 최대 10MB로 제한 | 적절한 파일 크기 |
성능 지표 | API 응답 시간은 평균 200ms 이하 | 빠른 성능 |
3. 실제 PRD 예제
# 프로젝트명: 온라인 북마크 관리 시스템
## 개요
- 목적: 웹 브라우저 북마크를 클라우드에서 관리하고 공유
- 범위: 웹 앱 + REST API + 브라우저 확장 프로그램
- 일정: 8주 개발 일정
## 핵심 기능
### 1. 사용자 인증 시스템
- 설명: 이메일/비밀번호 기반 회원가입 및 로그인
- 우선순위: High
- 기술요구사항: JWT 인증, bcrypt 패스워드 해싱
- 세부사항:
- 이메일 인증 필요
- 비밀번호 찾기 기능
- 2FA 지원 (선택사항)
### 2. 북마크 관리 기능
- 설명: 북마크 추가, 편집, 삭제, 폴더 구조 관리
- 우선순위: High
- 기술요구사항: REST API, 실시간 동기화
- 세부사항:
- 드래그앤드롭으로 폴더 이동
- 태그 기반 분류
- 중복 URL 자동 감지
### 3. 브라우저 확장 프로그램
- 설명: 현재 페이지를 원클릭으로 북마크 저장
- 우선순위: Medium
- 기술요구사항: Chrome Extension API
## 비기능적 요구사항
- 성능: API 응답시간 200ms 이하, 동시 접속자 5000명
- 보안: HTTPS 필수, XSS/CSRF 보안
- 확장성: 마이크로서비스 아키텍처
## 제약사항
- 기술적 제약: Node.js/Express, React, PostgreSQL
- 시간적 제약: MVP 4주, 전체 기능 8주
- 리소스 제약: 개발자 2명, 디자이너 1명
🚀 parse-prd 명령어 완전 가이드
기본 사용법
# PRD 파일에서 태스크 생성
task-master parse-prd .taskmaster/docs/prd.txt
# 실행 결과 예시
✓ Analyzing PRD document...
✓ Generated 12 main tasks
✓ Created task dependencies
✓ Assigned priorities based on requirements
✓ Tasks saved to tasks.json
명령어 옵션 | 설명 | 사용 예시 |
---|---|---|
--research |
AI가 외부 리서치로 상세 태스크 생성 | task-master parse-prd prd.txt --research |
--append |
기존 태스크에 추가 (덮어쓰지 않음) | task-master parse-prd new.txt --append |
--section |
특정 섹션만 파싱 | task-master parse-prd prd.txt --section="핵심 기능" |
PRD 품질 검증
# PRD 품질 분석
task-master analyze-prd prd.txt
# 출력 예시:
📊 PRD Quality Report
├── 구조화 정도: 85% ✅
├── 구체성 점수: 72% ⚠️
├── 우선순위 명확성: 91% ✅
├── 기술 요구사항: 68% ⚠️
└── 추정 태스크 수: 15-20개
💡 개선 제안:
- API 엔드포인트 스펙을 더 구체적으로 명시
- 데이터베이스 스키마 요구사항 추가
- 에러 핸들링 시나리오 보완
📈 생성된 태스크 품질 향상 기법
태스크 트리 분석
# 생성된 태스크 구조 확인
task-master list --tree
# 출력 예시:
📋 Project Tasks (15 total)
├── 1. 프로젝트 환경 설정 (High)
│ ├── 1.1 Node.js 프로젝트 초기화
│ ├── 1.2 데이터베이스 스키마 설계
│ └── 1.3 기본 API 구조 구성
├── 2. 사용자 인증 시스템 (High)
│ ├── 2.1 JWT 인증 구현
│ ├── 2.2 비밀번호 해싱 적용
│ └── 2.3 OAuth 소셜 로그인
└── 3. 북마크 관리 기능 (High)
├── 3.1 CRUD API 개발
├── 3.2 폴더 구조 관리
└── 3.3 검색 기능 구현
태스크 품질 지표
지표 | 좋은 태스크 | 개선 필요 |
---|---|---|
크기 | 1-3일 작업량 | 1주 이상 |
구체성 | 명확한 결과물 | 모호한 설명 |
테스트 가능성 | 검증 기준 명시 | 완료 조건 불명 |
의존성 | 최소한의 블로킹 | 복잡한 의존관계 |
🛠️ 실전 워크플로우
시나리오 1: 새 프로젝트 시작
# 1. PRD 작성
mkdir .taskmaster/docs
cat > .taskmaster/docs/prd.txt << EOF
# 프로젝트명: 할일 관리 앱
## 핵심 기능
1. 할일 추가/삭제/수정
2. 카테고리별 분류
3. 마감일 알림
4. 진행률 추적
EOF
# 2. 태스크 자동 생성
task-master parse-prd .taskmaster/docs/prd.txt --research
# 3. 생성된 태스크 검토
task-master list --tree
# 4. 복잡도 분석
task-master analyze-complexity --research
# 5. 첫 태스크 시작
task-master next
시나리오 2: 기능 추가
# 1. 추가 기능 PRD 작성
cat > new-features.txt << EOF
# 추가 기능: 팀 협업
## 새로운 요구사항
1. 팀 멤버 초대 기능
2. 할일 공유 및 할당
3. 실시간 동기화
4. 댓글 시스템
EOF
# 2. 기존 태스크에 추가
task-master parse-prd new-features.txt --append --research
# 3. 우선순위 재조정
task-master update --from=10 --prompt="새 기능과 기존 기능의 우선순위 재조정"
📚 PRD 템플릿 라이브러리
웹 애플리케이션 템플릿
# 프로젝트명: [웹앱 이름]
## 기술 스택
- Frontend: React/Vue/Angular
- Backend: Node.js/Python/Java
- Database: PostgreSQL/MongoDB
- Deployment: Docker/AWS
## 페이지 구성
1. 랜딩 페이지
2. 회원가입/로그인
3. 대시보드
4. 설정 페이지
## API 설계
- RESTful API 규칙 준수
- JWT 기반 인증
- 에러 처리 표준화
- API 문서 자동 생성
모바일 앱 템플릿
# 프로젝트명: [모바일 앱 이름]
## 플랫폼
- iOS (Swift/SwiftUI)
- Android (Kotlin)
- 또는 React Native/Flutter
## 핵심 화면
1. 온보딩
2. 홈 화면
3. 프로필
4. 설정
## 기기 연동
- 푸시 알림
- 카메라/갤러리 접근
- 위치 정보 사용
- 오프라인 모드
⚠️ 자주 발생하는 문제와 해결법
문제 | 원인 | 해결법 |
---|---|---|
태스크가 너무 크게 생성 | PRD가 너무 추상적 | 세부 단계를 명시하고 expand --all 사용 |
의존성이 복잡하게 생성 | 요구사항 순서가 불명확 | validate-dependencies 후 정리 |
우선순위가 잘못 할당 | 모호한 우선순위 표현 | "High Priority", "MVP 필수" 등 명확한 키워드 사용 |
🎯 마무리
효과적인 PRD 작성과 Task-Master의 자동 태스크 생성을 결합하면 이런 장점들을 얻을 수 있어요:
- ✅ **일관성**: 모든 팀원이 같은 이해도로 프로젝트 시작
- ✅ **효율성**: 태스크 분해 시간을 90% 단축
- ✅ **품질**: AI의 객관적 분석으로 놓치는 요소 최소화
- ✅ **추적성**: 요구사항부터 구현까지 완벽한 트레이서빌리티
다음 글에서는 복잡도 분석을 통한 프로젝트 리스크 관리 방법을 다루겠습니다. 실제 프로젝트에서 바로 써먹을 수 있는 실무 노하우를 공유할 예정이에요.
💡 이 글이 도움이 되셨다면 좋아요와 공유 부탁드립니다!
PRD 작성이나 Task-Master 사용 중 막히는 부분이 있으시면 댓글로 언제든 질문해주세요.